무좀의 민간요법
무좀은 고질적 피부병 중의 하나로 꼽힌다. 앓고 있는 사람 역시 적지 않은 숫자다. 그런 만큼 한방과 양방 쪽에서 무좀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는 데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요법에서도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민간요법은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한국자연 건강 양생회의 도움말로 몇가지 방법을 알아본다.
▲약재: 담뱃잎. 인동덩굴
담뱃잎(없을 경우는 보통 피우는 담배를 까서 써도 무방하다.)과 인동 덩굴을 함께 푹 달여 그 물에 무좀 걸린 부위를 자주 담근다. 담그는 시간은 10분 정도면 적당하다.
▲약재: 고추. 낙지
재래종 고추 (단, 풋고추는 안 된다.) 20개와 큰 낙지 한 마리를 함께 끓여 물이 반정도 줄어들면 환부를 담근다. 하루 2∼3회씩 계속한다.
▲약재: 대황. 식초
대황을 가루로 만들어 식초에 개어서 환부에 자주 발라준다.
▲약재: 마늘. 감
덜익은 땡감과 마늘을 함께 찧어 환부에 붙인다. 이 두 가지를 함께 구하기 힘들 때는 땡감이나 마늘 중 한가지 재료만 사용해도 된다.
▲약재: 백반. 물. 소다
물에 백반 20g을 넣고 끓여 충분히 녹인 후 환부를 10분 정도 담근다. 백반에 소다를 함께 넣어 사용해도 무방하며 여름철에 생긴 무좀은 모래찜질 후 백반 녹인 물에 담그면 더 효과적이다. 백반을 녹일 때 식초를 넣어도 된다.
▲약재: 약쑥. 솔잎. 왕겨
약쑥을 태우면서 환부에 그 연기를 쓴다. 만약 약쑥이 없을 때는 청솔잎을 태우면서 거기서 나는 연기에 환부를 갖다 댄다. 몇 차례 계속하면 무좀이 없어진다 왕겨는 태워서 기름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르면 좋다.
▲약재: 알로에. 소다
알로에에 소다를 조금 넣어 짓찧어 환부에 자주 붙인다. 석류를 즙내어 환부에 바르거나 담가도 된다. 석류 삶은 물의 건더기를 건져내고 그 물을 다시 달여 조청처럼 찐득 해지면 생강과 함께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소주를 끓여 식힌 후 10분 이상 담가도 좋다.
무좀은 고질적 피부병 중의 하나로 꼽힌다. 앓고 있는 사람 역시 적지 않은 숫자다. 그런 만큼 한방과 양방 쪽에서 무좀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는 데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요법에서도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민간요법은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한국자연 건강 양생회의 도움말로 몇가지 방법을 알아본다.
▲약재: 담뱃잎. 인동덩굴
담뱃잎(없을 경우는 보통 피우는 담배를 까서 써도 무방하다.)과 인동 덩굴을 함께 푹 달여 그 물에 무좀 걸린 부위를 자주 담근다. 담그는 시간은 10분 정도면 적당하다.
▲약재: 고추. 낙지
재래종 고추 (단, 풋고추는 안 된다.) 20개와 큰 낙지 한 마리를 함께 끓여 물이 반정도 줄어들면 환부를 담근다. 하루 2∼3회씩 계속한다.
▲약재: 대황. 식초
대황을 가루로 만들어 식초에 개어서 환부에 자주 발라준다.
▲약재: 마늘. 감
덜익은 땡감과 마늘을 함께 찧어 환부에 붙인다. 이 두 가지를 함께 구하기 힘들 때는 땡감이나 마늘 중 한가지 재료만 사용해도 된다.
▲약재: 백반. 물. 소다
물에 백반 20g을 넣고 끓여 충분히 녹인 후 환부를 10분 정도 담근다. 백반에 소다를 함께 넣어 사용해도 무방하며 여름철에 생긴 무좀은 모래찜질 후 백반 녹인 물에 담그면 더 효과적이다. 백반을 녹일 때 식초를 넣어도 된다.
▲약재: 약쑥. 솔잎. 왕겨
약쑥을 태우면서 환부에 그 연기를 쓴다. 만약 약쑥이 없을 때는 청솔잎을 태우면서 거기서 나는 연기에 환부를 갖다 댄다. 몇 차례 계속하면 무좀이 없어진다 왕겨는 태워서 기름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르면 좋다.
▲약재: 알로에. 소다
알로에에 소다를 조금 넣어 짓찧어 환부에 자주 붙인다. 석류를 즙내어 환부에 바르거나 담가도 된다. 석류 삶은 물의 건더기를 건져내고 그 물을 다시 달여 조청처럼 찐득 해지면 생강과 함께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소주를 끓여 식힌 후 10분 이상 담가도 좋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력을 돕는 신비약 (0) | 2009.09.19 |
---|---|
건강 20훈 (0) | 2009.09.19 |
눈의 피로 회복과 시력 감퇴에 좋은 치료법 (0) | 2009.09.19 |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음식상식 50 (0) | 2009.09.19 |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음식상식 50 (0) | 200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