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① 면역능증강작용이 강하여 감염성 질환에 저항력이 강해진다. ② 혈당강하작용을 한다 ③ 지방간억제작용이 강하다. ④ 혈압강하작용을 한다 ⑤ Hydroxyproline(인체가 노쇠할수록 줄어드는 아미노산으로 써, 이 아미노산이 많으면 노쇠가 지연되고 피로가 덜 하다고 한다 )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인체의 노화를 지연하고 피로를 회복시켜 주며 식욕이 증진되고 잠이 잘 온다.
오미자 ① Gomisine A와 Schizandrin은 신경안정작용이 강하고 간세포부활작용이 강하며, 간의 해당작용을 강화하고 간염으로 인한 sGOT sGPT의 수치를 개선한다. ② Deoxyschzandrindsm 과다한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위궤양을 수복한다. ③ 심근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심근의 운동능을 강화하며 심장, 신장 소동맥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④ 거담작용을 한다. ⑤ 가토(家兎)의 생식세포증식작용과 난소의 배란촉진작용이 증명되었다. ⑥ 인체의 노화를 지연한다.
토사자 ① 비특이적 면역능 증강작용이 있다. ② 간기능을 강화한다. ③ 항종양작용, 항염작용이 있다. ④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한다.
복분자 ① 항균작용이 강하다 ② 임상상 고정(固精), 익신(益腎)한다고 하여 신허(腎虛)의 유뇨(遺尿)에 사용한다.
차전자 ① Aucubin이 이뇨를 증진하여 수분, 요소, Nacl 등의 배설을 증가하고 요산의 배설도 증가시킨다. ② 관절활막의 결체조직 증식을 촉진한다. ③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④ 항균작용을 하여 적리균, 피부진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천문동 ① Asparagine등의 함유로 세포에 자윤을 공급하여 갈증을 완화한다. ② 상기도감염균(용혈성연쇄구균, 폐렴쌍구균, 포도상구균 등)에 항균작용이 있다. ③ 진해, 이뇨작용이 있다.
맥문동 ① Vitamin A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각질을 연화한다. ② 혈당강하작용을 한다. ③ 소염, 진해, 거담작용이 있다. ④ 폐렴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구균등에 항균작용이 강하므로 주로 상, 하기도의 염증에 응용되어 항균작용을 한다.
생지황 ① 철분의 함유로 조혈작용을 하여 혈허(血虛)를 개선한다. ② Catalpol이 혈당강하작용을 한다. ③ 진장혈류를 증진하여 이뇨를 증진하고 관절의 부종, 동통을 경감시킨다.
숙지황 ① Fe가 함유되어 있어 조혈(造血)작용을 하며 소화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② Vitamin A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각화를 예방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각질세포를 연화한다. ③ Cataipol이 고혈당(高血糖)에 대해 현저하게 혈당강하작용을 하고 이뇨작용을 한다. 또 완만한 사하작용이 있어 하리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변비를 경감시키기도 한다. ④ 강심작용이 있고 소량(少量)에서는 혈관을 수축시키지만 대량(大量)에서는 혈관을 확장하고, 신장혈관을 확장하여 이뇨를 증진한다. ⑤ 건지황보다 숙지황이 조혈(造血), 자윤(滋潤)작용이 강하다. ⑥ 혈액의 응고를 촉진하여 지혈(止血)작용을 한다. ⑦ 관절의 부종(浮腫), 동통(疼痛)을 경감시킨다.
산 약 ① 점액질이 풍부하고 Arginine등의 각종 Amino acid와 각종 당질(糖質)등 풍부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자양작용을 하여 허로(虛勞)를 보(補)하고 기력을 증강하며 근육을 강화한다. ② Amylase 등의 소화효소제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증진한다. ③ 호흡기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노인성해소를 경감시키고 약한 거담작용이 있으며, 경도, 중등도의 갈증이 있는 당뇨병에 혈당강화작용이 있다.
우 슬 ① 진통작용이 있다. ②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하강한다. ③ 자궁의 수축능을 증강한다.
산수유 ① Tartaric acid, Malic acid, Gallic acid등의 유기산과 Vitamin A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어서 수렴작용을 하여 도한(盜汗)증상에 지한(止汗)작용이 강하여 피부, 점막에 자윤을 공급한다. ② 빈뇨를 억제하는 이뇨작용이 있다. ③ Mast cell 탈과립을 억제하고 항히스타민작용을 하여 알러지증상을 경감시킨다.
촉 초 ① Xanthoxin이 장관의 경련을 유발하고, Sanshotoxin이 회충을 마비시키므로 구충작용을 한다. ②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항진하고, 건강(乾薑)과 더불어 소화관벽의 모세혈관의 혈류를 증진하여 소화관점막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소화와 흡수를 증진한다.
택 사 ① K=염이 이뇨를 증진하고 세뇨관 재흡수를 억제하여 강력한 이뇨작용을 함으로써 조직의 부종을 경감시킨다. ② Alisol A, Alisol A-24-Monoacetate 등이 지방간(脂肪肝)을 개선한다. ③ Choline, Lecithin 등이 혈중 Cholisterol을 경감시키고 죽상동맥경화를 개선한다. ④ 혈당강하(血糖降下)작용이 있다.
원 지 ① Tenuifolin은 위장점막을 자극하여 약한 구토감을 일으키면서 기관지분비를 증가시켜 거담작용을 한다. ② Saponin 분획이 대뇌피질의 흥분을 억제하여 진정작용을 한다. ③ Stress성궤양 발생을 예방한다.
지골피 ① 강한 해열작용이 있다. ② Linolinic acid,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혈당강하, 혈압강하작용에 보조역할을 한다.
육종용 ①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능증강작용이 강하다. ② 내분비기능을 강화하고 인체의 대사를 촉진하며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난소의 황체기능을 강화한다. 강장작용을 한다. ③ 간의 해당기능을 강화한다.
석창포 ①Asarone이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항경련작용을 한다. ② 기억력 장애를 개선한다. ③ 최면작용이 있다.
파극천 ① 피로회복작용과 체중증가작용을 한다. ② 면역능 증강작용이 있다. ③ 부신피질호르몬분비를 촉진한다.
두 충 ① Cholesterol의 장관흡수를 억제하여 고점도혈증을 저하시키고 부교감신경 흥분성작용을 하여 혈압을 강화한다. ②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증진한다. ③ 진정작용을 한다. ④ 근육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근육의 위축으로 인한 요통, 하지통등을 개선하며, 자궁근육의 장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⑤ 당류, 유기산, Pectin,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Vitamin C 등의 함량이 풍부하여 강장작용을 한다.
백자인 ① 지방유가 하리작용을 하여 변비를 개선한다. ② 신경안정작용과 정신안정작용이 있다. ③ 최면작용이 있다.
인 삼 ① Saponin이 신경의 흥분전도를 가속(加速)화하고 조건반사능을 강화하여 피로를 경감시키고 작업능률을 높인다. ② Ginsenoside Rg1, Re, Rb2과 Re는 부신피질기능을 흥분시키고 면역기억세포의 생성을 촉진하여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③ Adenosine, Ginsenoside Rb1과 Re는 혈중의 중성지방생성을 저하시키고, Ginsenoside Rg3와 Rf2는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전(血栓)생성을 방지한다. ④ 항히스타민작용을 하여 Anaphylactic shock을 억제한다. ⑤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Choline reactive system을 강화하므로 써 말초혈류를 증진하고, 따라서 위벽의 혈액순환량을 증량하여 위내강(胃內腔)의 체온을 상승시킨다. ⑤ Ginsenoside Rh2는 암세포증식을 억제한다.
백복령 ① β-Pachymose, Pachymic acid, 단백질, 지방, 칼륨, Lecithin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모든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뇌세포를 활성화하여 정신을 안정시키며 허약체질을 개선한다. ② 세뇨관 재흡수를 억제하여 이뇨를 증진하므로 부종을 경감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