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TUDY

레지스트리 팁

Lee-Sun 2008. 9. 2. 14:23

레지스트리 편집창을 실행시키시려면...

시작 > 실행 으로 가셔서..

regedit를 입력하시면 뜹니다...

거기거 아래의 설명된 경로로 차근차근 따라가보세요..^^;;



익스플로러 타이틀 바의 제목 바꾸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타이틀 바에는 Microsoft Internet Explorer라고 적혀 있다. 이 제목 대신 자기 이름을 집어넣을 수 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 키가 생기면 이름을 windows title로 바꾸고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 칸'에 "하하하..안녕하세요?"라고 쓴다.


아웃룩 익스프레스 타이틀 바의 제목 바꾸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utlook Express

아웃룩 익스프레스 타이틀 바의 제목은 Outlook Express다. 익스플로러처럼 이것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utlook Express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 키가 생기면 이름을 windows title로 바꾼 뒤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하하하..안녕하세요?"라고 쓴다.

익스플로러 툴바에 그림 깔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Toolbar
윈도우즈 98에 있는 익스플로러의 툴바는 조금도 화려하지 않다. 무늬나 그림 없이 단순히 회색을 칠해 놓아 무척이나 삭막한 느낌이다. 레지스트리를 손보면 툴바에 멋진 배경 그림을 깔 수 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Toolbar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키가 생기면 이름을 backbitmap로 바꾸고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나타나면 '값의 데이터' 칸에 배경으로 쓸 bmp 파일의 주소를 쓴다. 예를 들어, windows 폴더에 있는 하늘.bmp 파일을 툴바에 깔려면 c:windows하늘.bmp 라고 적는다.


시작 메뉴의 프로그램 메뉴 정리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enuOrder-Start Menu-프로그램(&P)

<프로그램을 많이 깔면 시작 메뉴가 복잡해지고, 보기에도 좋지 않다. 프로그램이 이름 순서로 자리잡지 않아 필요한 것을 찾기 어렵다. 보기에도 좋지 않다. 레지스트리를 손보면 프로그램들이 가지런히 자리잡는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enuOrder-Start Menu-&Programs를 열면 바로 아래에 여러 가지 메뉴가 나타난다. 모두 시작 버튼에 등록된 것들이다. 이것들을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삭제'를 골라 남김없이 지워버린다. 그리고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프로그램들이 이름 순서대로 다시 자리잡는다.


작업 표시줄에 내 이름 띄우기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ternational

작업표시줄의 트레이에는 시스템의 현재 시각이 적혀 있다. 여기에 내 이름을 띄워보자.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ternational의 오른쪽 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키가 생기면 이름을 s2359라고 바꾸고, 다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자기 이름을 쓴다.


시작 버튼 편집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font> `
윈도우즈 98의 시작 버튼에는 잘 쓰지 않는 메뉴가 등록되어 있다. 이를테면, 문서나 즐겨 찾기가 그렇다. 메모리만 차지하는 이것들을 지우면 부팅 속도가 조금 빨라진다. 물론 필요하면 언제든지 다시 띄울 수 있다. 여기서는 문서, 즐겨 찾기, 찾기 메뉴를 없애보자.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의 오른쪽 창에 필요한 키를 만든다. 예를 들어, 시작 버튼의 '즐겨 찾기'를 관리하는 키를 만들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DWORD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로운 키가 생기면 nofavoritesmenu라는 이름을 붙이고,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마지막으로 'DWORD 값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 1을 집어넣고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시작 버튼에서 즐겨 찾기 메뉴가 사라진다. 즐겨 찾기를 다시 띄우려면 값을 0으로 바꾸거나 nofavoritesmenu 키를 지워버린다. 시작 버튼에 등록된 메뉴와 키의 이름을 밑에 모았다. .

※ 시작 버튼에 등록된 메뉴와 키 이름. 키의 종류는 모두 DWORD 값이다.

즐겨 찾기: nofavoritesmenu

최근 문서: norecentdocsmenu

로그 오프: nologoff

찾기: nofind

실행: norun

시스템 종료: noclose

설정: nonosetfolders


이용자와 회사 이름 바꾸기



주소 : HKEY_LOCAL_ 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운영체제를 깔 때 쓰는 이용자와 회사 이름을 나중에 바꾸려면 어떻게 할까? 중고 PC를 사거나 거저 얻은 사람은 원래 주인이 적은 이름과 회사 이름이 마음에 안 든다. 단지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 시스템을 포맷하고 윈도우즈를 다시 깐다면 어리석은 짓이다. '네트워크' 창의 '컴퓨터 확인' 탭에서 이용자와 회사 이름을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레지스트리에서 바꿔도 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에 간 뒤 오른쪽 창에서 RegisteredOwner와 RegisteredOrganization 키를 찾는다. RegisteredOwner에는 이용자 이름이, RegisteredOrganization에는 회사 이름이 등록되어 있다. 이름을 바꾸는 방법은 둘 다 똑같다. 여기서는 이용자의 이름을 고쳐보자.
RegisteredOwner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골라 '스티링 편집' 창을 띄운다. 그런 다음 '값의 데이터' 칸에 새로운 이름을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키의 입력 속도를 빠르게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keyboard

워드프로세서로 문서를 쓸 때 키의 반응 속도가 느리면 무척 답답하다. 타이핑 실력이 뛰어난 이들은 빠른 손놀림을 따르지 못하는 PC가 야속하다. 제어판에 있는 '키보드'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키보드 등록정보' 창을 띄운 뒤, '키 재입력 시간'과 '키 반복 속도' 바를 '짧게'와 '빠르게' 쪽으로 옮겨놓으면 입력 속도가 제법 빨라지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키의 입력 속도가 대단히 빨라진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Keyboard로 가서 오른쪽 창에 있는 keyboardspeed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한 번 누른다. 이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수정'을 고른 뒤 '스트링 편집' 창이 나타나면 '값의 데이터' 칸에 31이라고 쓴다. 기본 값이 29이므로 30∼33 중에서 적당한 값을 집어넣으면 달라진 속도를 체감할 수 있다.


자동 수행 프로그램 만들기



주소 : HKEY_ 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시스템을 켰을 때 저절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자동 수행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한글의 '한컴쪽지'나 백신 프로그램인 V3의 '시스템 감시',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동영상을 보여주는 '리얼플레이어'가 대표적이다.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면 어떤 프로그램이든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글을 자동 수행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보자.

HKEY_ 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그런 다음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골라 새로운 키를 만든 뒤 적당한 이름을 붙인다. 여기서는 '한글'이라고 썼다. '한글' 키를 체크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수정'을 고르면 '스트링 편집' 창이 뜬다. 마지막으로 '값의 데이터' 칸에 수행 파일의 주소(한글은 c:hnchwpw.exe)를 집어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제 시스템을 껐다 켜면 한글이 저절로 뜬다.


나라 이름을 더 멋지게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Time ZonesKorea

트레이에는 시스템 시간을 알려주는 칸이 있다. 이 부분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날짜/시간 등록정보’ 창이 뜬다. 표준 시간대 칸에는 (GMT+09.00) 대한 민국이라고 적혀 있다. 이것을 '정보 대국을 꿈꾸며'로 바꾸어보자.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Time ZonesKorea의 오른쪽 창에는 display 키가 있다. 이것의 값이 지금은 '(GMT+09.00) 대한 민국'이다.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골라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정보 대국을 꿈꾸며'라고 쓴다.


휠 버튼의 속도 조정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는 속도는 제어판의 마우스 아이콘에서 정하지만 휠의 움직임은 어디서 조정할까? 레지스트리를 손보면 휠을 한 번 굴릴 때 원하는 만큼 스크롤시킬 수 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이진값을 고른다. 새 키가 생기면 이름을 wheelscrolllines라고 붙이고,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 칸에 적당한 스크롤 길이를 2진수로 쓴다. 예를 들어, 휠을 한 번 굴릴 때 두 줄씩 넘기려면 02라고 적는다. 최대 값인 ff ff ff ff는 한 페이지를, 0a는 10줄을 넘긴다.♡


그림 파일의 아이콘 모양 바꾸기



주소 : HKEY_CLASSES_ROOTPaint.PictureDefaultIcon

매킨토시는 그림 파일의 아이콘이 그림 자체를 축소한 모양이어서 필요한 것을 찾기 쉽다. 하지만 윈도우즈는 한 가지 아이콘을 쓰므로 일일이 열어봐야 한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윈도우즈의 아이콘이 매킨토시처럼 바뀐다. 단, 확장자가 bmp이어야 한다.

HKEY_CLASSES_ROOTPaint.PictureDefaultIcon에 가서 오른쪽 창에 있는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칸에 %1을 집어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그림 파일의 아이콘이 그림 자체를 축소한 모양으로 바뀐다.


단축 아이콘의 색을 16비트로



윈도우즈 95에서 바탕화면의 색을 16비트로 하면 단축 아이콘들이 8비트로 처리된다. 보기 싫어도 16비트로 끌어올리는 방법을 모르면 그냥 참고 견딜 수밖에 없다. 물론 해결책이 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아이콘이 16비트의 색을 쓴다.
< br>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수정 → 문자열 값을 고른다. 새로운 키가 생기면 이름을 shell icon BPP로 바꾼 뒤,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창이 열리면 값을 16으로 한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단축 아이콘의 색이 16비트로 되어있다.


바로 가기 아이콘에 붙은 화살표 없애기



주소 : HKEY_CLASSES_ROOTlnkfile

프로그램을 깔거나 탐색기에서 파일을 바탕화면으로 끌어오면 바로 가기 아이콘이 생긴다. 여기에는 화살표가 붙어 있어 금방 눈에 띈다. 하지만 이 화살표가 하는 일은 없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해 알 수 있다.

HKEY_CLASSES_ROOTlnkfile로 간 다음 오른쪽 창에 있는 isshortcut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다. 그런 다음 '삭제'를 고르면 바로 가기 아이콘에서 화살표가 사라진다.


휴지통 아이콘에 새로운 명령 더하기



주소 :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

바탕화면에 있는 휴지통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면 창이 열리면서 열기, 탐색, 휴지통 비우기, 붙여넣기, 바로 가기 만들기, 등록 정보 등의 명령이 나타난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이 창에 이름 바꾸기, 삭제 명령이 생긴다. 이름 바꾸기는 휴지통 이름을 바꿀 때, 삭제는 휴지통 아이콘을 지울 때 이용한다.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의 오른쪽 창에 있는 attribute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 칸에서 40 01 00 20 대신 70 01 00 20을 집어넣는다. '이름 바꾸기' 명령만 더하려면 50 01 00 20을, '삭제' 명령만 넣으려면 60 01 00 20이라고 쓴다.


윈도우즈 95의 '시스템 대기' 메뉴 없애기



윈도우즈 95의 시작 버튼에는 98에 없는 '시스템 대기'가 등록되어 있다. PC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만든 이것이 사실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아예 화면에 뜨지 않도록 하는 편이 낫다.

HKEY_LOCAL_MACHINEEnumRoot*PNP0C05000의 오른쪽 창에 APMmenususpend라는 이름의 이진 값 키를 만든다. 이것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창을 띄운 다음 값을 00으로 바꾼다. 그러면 시작 버튼에서 시스템 대기 메뉴가 사라진다. 다시 띄우려면 값을 01로 고친다.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크게 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이 작아서 답답하면 키워보자.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의 오른쪽 창에서 shell icon size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적당한 값을 쓴다. 기본 값은 32이다. 아이콘을 1.5배 키우려면 48라고 쓴다. shell icon size 키가 없으면,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고른다. 키가 생기면 이름을 shell icon size라고 고친다.


휴지통 이름 바꾸기



주소 :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중에서 이름을 바꾸지 못하는 것은 휴지통이다. 그렇다고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면 마음에 드는 이름을 얼마든지 갖다 붙일 수 있다.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의 오른쪽 창에 마련된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칸에 적힌 휴지통을 지우고 적당한 이름을 쓴다. 만약 여기서 '분리 수거'라고 적으면 휴지통의 이름이 분리 수거로 바뀐다.

1.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2. '값의 데이터' 칸에 적힌 휴지통을 지우고 적당한 이름(여기서는 '분리 수거')을 쓴다.

3. 기본값 키의 값이 '분리 수거'로 바뀌었다.


익스플로러의 로고 바꾸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우면 오른쪽에 있는 지구본이 빙그르르 돈다. 사이트 접속이 끝나면 지구본이 회전을 멈춘다. 레지스트리를 손보면 이것을 다른 모양으로 바꿀 수 있다. 먼저, 크기가 38×38 픽셀인 gif 애니메이션 파일을 PC통신에서 구해 적당한 폴더에 넣는다.

이제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Toolbar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수정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 키가 생기면 이름을 brandbitmap로 바꾸고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마지막으로 '값의 데이터' 칸에 새로 쓸 로고의 주소를 쓴다.


프로그램 추가/제거 메뉴 정리하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 Version/Uninstall

제어판에 있는 '프로그램 추가/제거' 창에서 프로그램을 지워야 찌꺼기가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실수로 폴더만 없애면 관련 자료가 프로그램 추가/제거에 그대로 남는다. 이것을 정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 Version/Uninstall 아래에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 목록이 자리잡고 있다. 모두들 '프로그램 추가/제거' 창에 등록된 것이다. 이 중에서 없애려는 프로그램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삭제'를 고르면 '프로그램 추가/제거' 창에서 그 이름이 사라진다.


단축 아이콘에 '…의 바로 가기'가 붙지 않게 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탐색기에 있는 수행 파일(확장자가 exe인 것)을 마우스로 끌어 바탕화면에 놓으면 '…의 바로 가기'라는 단축 아이콘이 생긴다. 여기서 '…'는 수행 파일의 이름이다. 예를 들어, 윈집의 수행 파일인 winzip32.exe을 바탕화면으로 끌어다 놓으면 'Winzip32.exe의 바로 가기'라는 이름이 붙는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의 바로가기'가 붙지 않는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의 오른쪽 창에서 link 키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1E 00 00 00이라고 적힌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00 00 00 00으로 바꾼다. 이제 시스템을 껐다 켠 뒤 수행 파일을 바탕화면으로 끌어오면 '…의 바로 가기'라는 글자가 생기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효과 끄기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바탕화면에 있는 작업 창을 최소화하면 크기가 줄어들면서 사라진다. 반대로 작업표시줄에 등록된 아이콘을 누르면 창이 커지면서 원래 모습을 되찾는다. 이것을 애니메이션 효과라고 한다. 보기는 좋지만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므로 작업 속도가 떨어진다. 레지스트리를 손봐 애니메이션 효과를 끄도록 한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로 가서 minanimate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0을 집어넣는다.
minanimate가 없으면 빈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로운 키가 생기면 이름을 minanimate으로 바꾼다.
애니메이션 효과를 켜려면 값을 1로 바꾼다.


메뉴 창이 뜨는 방향 조정하기



주소 :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한글이나 페인트샵 프로 등의 프로그램은 메뉴 창을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띄운다. 예를 들어, 새롬 데이터맨 프로의 '설정' 메뉴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누르면 아래로 창이 열리면서 통신 설정, 화면 설정, 폴더 경로 등의 명령이 나타난다. 이 창은 메뉴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메뉴 창이 왼쪽 방향으로 열린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의 오른쪽 창에서 MenuDropAlignment 키를 찾아 값을 1로 바꾼다. 이 키가 없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수정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골라 키를 새로 만든다. 그리고 이름을 MenuDropAlignment로 바꾼다. 이것을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스트링 편집' 창을 띄운 뒤 '값의 데이터' 칸에 1이라고 쓴다. 메뉴 창이 원래 방향으로 뜨게 하려면 값을 0으로 고치거나 키를 아예 지워버린다.


실행 창에 기록된 명령 지우기



주소 : HKEY_USERS.DefaultSoftwareMicrosoft WindowsCurrentVersionExplorerRunMRU

시작 버튼 → 실행을 고르면 도스처럼 글자를 써서 명령을 내리는 '실행' 창이 뜬다. '열기' 칸에 windows 폴더에 있는 수행 파일(확장자가 exe인 것)의 이름을 적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명령이 수행된다. 이를테면, regedit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msconfig는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을, sysedit는 '시스템 구성 편집기' 창을 띄운다.

'실행' 창은 기억력이 좋아 한번 쓴 단어를 잊지 않는다. '열기' 칸의 ▼ 버튼을 누르면 지금까지 썼던 명령이 빠짐없이 나타난다. 중요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이런 흔적이 달갑지 않다. ▼ 버튼을 누르면 누구나 작업 내용을 볼 수 있어 보안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문제 때문에 더 이상 골치를 썩지 않아도 된다. 레지스트리를 손보면 '실행' 창에 남아 있는 흔적이 말끔하게 사라지기 때문이다.

HKEY_USERS.Default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RunMRU에 가면 오른쪽 창에 a, b, c 등의 이름으로 된 키가 보인다. 바로 옆에는 각 키에 할당된 명령어가 적혀 있다. 키를 지우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삭제'를 고른다. 그러면 '실행' 창에 남아 있던 흔적이 깨끗하게 사라진다.


한글 윈도우즈를 영문 버전으로 속이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lsLocale

한글 윈도우즈 98에는 영문 버전 소프트웨어가 깔리지 않는다. 하지만 꼭 깔아 써야 하는 사람은 레지스트리를 손봐 한글 윈도우즈를 영문 버전으로 둔갑시킨다. 그러면 영문 전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를 영문으로 착각하게끔 내부 구조가 조금 바뀐다. 물론 메뉴는 한글 그대로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lsLocale의 오른쪽 창에 있는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000000412라는 숫자가 보인다. 여기서 412를 409로 바꾸면 한글 윈도우즈 98이 영문 버전으로 바뀐다. 값을 고친 뒤에는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참고로, 운영체제가 영문으로 바뀌면 한글 파일을 열어볼 수 없다. 그때는 값을 다시 000000412로 고친다.


CD롬 드라이브의 자동 수행 막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ClassCDROM

윈도우즈 95나 98은 CD를 드라이브에 넣으면 그 내용이 저절로 뜨도록 하는 자동 수행 능력을 지녔다.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는 명령이지만 어떨 때는 작업을 방해하기도 한다. 윈도우즈는 자동 수행을 막는 옵션을 갖추었다. 'CD롬 드라이브 등록정보' 창의 '자동 삽입 통지'가 그것이다. 이 항목을 체크하면 자동 수행이 켜지고, 체크 표시를 없애면 꺼진다. 레지스트리에도 CD의 자동 수행을 막는 명령이 들어 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ClassCDROM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DWORD 값을 고른다. 새로 생긴 키의 이름을 autorun으로 한 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DWORD 값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 칸에 00이라고 쓴다. 자동 수행 명령을 다시 켜려면 값을 01로 바꾼다.


주소를 쓰면 인터넷에 곧바로 연결된다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ternet Settings

모뎀을 쓰는 사람이 익스플로러의 주소 칸에 홈페이지의 주소를 쓰고 엔터 키를 누르면 전화를 거는 창이 열린다. 여기서 이용자 이름과 비밀 번호를 적고 연결 버튼을 누르면 그때서야 인터넷에 접속한다. 이런 확인 절차 없이 곧바로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ternet Settings의 오른쪽 창에서 enableautodial 키를 찾아 마우스의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을 주목한다. 처음에는 00 00 00 00이라고 적혀 있다. 이것을 01 00 00 00으로 바꾸면 모든 작업이 끝난다.


이용자 정보 쓰지 않고 운영체제 업그레이드하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윈도우즈 98의 시작 버튼에 있는 windows update 아이콘을 누르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여기에는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항목들의 최신 버전이 제법 많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필요한 것을 내려받으면 운영체제의 성능이 크게 좋아지지만, 자료를 받을 때 이용자 정보를 묻는 창이 떠서 여간 귀찮지 않다. 필요한 정보를 쓰지 않으면 다음 작업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그냥 넘어갈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용자 정보를 묻지 않게 하는 레지스트리 팁이 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의 오른쪽 창에서 regdone 키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마지막으로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00 00 00 01을 집어넣는다.


디스크 공간 부족 메시지 뜨지 않게 하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Plus!System AgentSAGELow disk space notification

PC를 쓰다보면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가끔 본다. 하드디스크의 여유 공간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 한계의 기준이 현실적이지 못해 실제로는 여유 공간이 넉넉한 데도 에러 메시지가 뜬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해 이 메시지가 뜨지 않도록 해보자.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Plus!System AgentSAGELow disk space notification의 오른쪽 창에 있는 setting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다음 '수정'을 고른다.


갱신된 내용 바로 보여주기



탐색기에서 파일을 지우거나 복사하면 작업 결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갱신된 내용을 보려면 F5키를 누르거나 탐색기를 닫았다 다시 열어야 한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면 작업 결과가 바로 나타난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Update의 오른쪽 창에는 updatemode 키가 있다. 지금은 값이 01이다. 이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 뒤 '값의 데이터' 칸에 00이라고 쓴다.


이용자 이름과 암호 입력을 자동으로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Winlogon

컴퓨터를 켜면 이용자 이름과 암호를 쓰는 창이 뜬다. 이름은 이미 적혀 있지만 암호는 이용자가 직접 써넣어야 한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해 암호가 저절로 들어가게 해보자.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Winlogon의 오른쪽 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새 키의 이름을 default password로 바꾼 뒤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암호를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제 PC를 켜면 암호가 저절로 들어간다.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모두 숨기기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을 모두 없애보자. 완전히 지우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숨길 뿐이다. 필요하면 언제든지 다시 띄울 수 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의 오른쪽 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다. 등록 → DWORD 값을 차례로 골라 항목을 만든 뒤 이름을 nodesktop으로 고친다. 이것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을 골라 'DWORD 값 편집' 창을 띄우고, 데이터 칸에 1이라고 쓴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아이콘들이 모두 사라진다.


레지스트리를 가볍게 하기



레지스트리가 작고 가벼우면 그만큼 부팅 시간이 짧다. 그럴려면 쓸모 없는 정보를 말끔히 지워야 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Time Zones에는 여러 나라의 시간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꼭 필요하지 않는 것을 없애도록 한다. 지우려는 항목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삭제'를 고르면 된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Layouts에는 전 세계 키보드 값이 모두 들어 있다. 이 중에서 영어와 한국어를 뺀 나머지 항목을 모두 지운다.


외국 글자가 깨지지 않게 하기



주소 : HKEY_ 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ontassocAssociated CharSet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영어를 뺀 나머지 외국 글자는 화면에 깨져서 찍힌다. 윈도우즈 95나 98이 외국어를 한글로 잘못 알아차리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레지스트리를 손본다.

HKEY_ 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ontassocAssociated CharSet의 오른쪽 창에 있는 ANSI(00)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스트링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no라고 쓴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외국 글자가 제대로 보인다.


화면보호기가 작동하지 않게 하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AutoComplete

제어판에 있는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창을 띄운 뒤 화면보호기 탭을 고르면, 화면보호기를 고르는 창이 뜬다. 화면보호기를 띄우지 않으려면 '화면 보호기' 칸에서 '없음'을 체크한다. 레지스트리도 화면보호기를 수행시키지 않는 명령을 지녔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의 오른쪽 창에서 screensaveactive 키를 찾는다. 지금은 값이 1로 되어 있다. 이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 뒤 '수정'을 고르면 '스트링 편집' 창이 뜬다. 마지막으로 '값의 데이터' 칸에 0을 집어넣으면 화면보호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CPU 정보를 자세히 보기



제어판에 있는 시스템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뜬다. 이 창 한 가운데 셀러론이나 펜티엄 II 등 PC에 달려 있는 CPU의 종류가 보인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띄운 뒤 HKEY_LOCAL_MACHINE/ Hardware/Description/System/CentralProcessor/0에 간다. 그런 다음 오른쪽 창에 자리잡은 vendoridentifier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창을 띄우고, '값의 데이터' 칸에 적혀 있는 genuineintel를 genuine intel로 바꾼다.


바탕화면에 있는 휴지통 아이콘 없애기



주소 : HKEY_LOCAL_MACHINE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Desktop
NameSpace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중에서 '내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 '휴지통'은 지우지 못한다. 다른 아이콘들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에 등록된 '삭제'를 이용해 없애지만, 이것들은 그 명령이 먹혀들지 않는다. 그래도 지우려면 레지스트리를 손본다. 휴지통 아이콘을 없애보자. 참고로, 휴지통을 지우면 파일을 되살릴 수 없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DesktopNameSpace 아래에는 두 개의 키가 있다. {450d8fba-ad25-11d0-98a8-0800361b1103}은 '내 문서', {645FF040-5081-101B-9F08-00AA
002F954E}는 '휴지통' 아이콘을 관리한다. 이 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삭제'를 고르면, 바탕화면에 있는 내 문서와 휴지통 아이콘이 사라진다.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 지우기



주소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바탕화면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지우려면 반드시 레지스트리를 손봐야 한다. 방법은 휴지통을 지울 때와 비슷하다. 모뎀으로 PC통신이나 인터넷을 즐기는 사람은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이 그리 중요하지 않으므로 없애도 된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등록 → DWORD 값을 차례로 골라 새 항목을 만든 뒤 이름을 nonethood로 바꾼다. 이것을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 창을 띄운 다음 값의 데이터 칸에 1이라고 쓰면 모든 작업이 끝난다.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다시 띄우려면 nonethood를 지운다.


폴더나 파일들의 목록 인쇄하기



하드디스크에 들어 있는 폴더와 파일의 목록을 인쇄하는 유틸리티는 많다. 하지만 운영체제 스스로 그 일을 해낸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면 된다. 작업 과정이 복잡하므로 잘 보고 따라한다.

① 탐색기를 띄운 뒤 c:windowscommand 폴더를 연다.
②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를 차례로 고른다.
③ 새로 생긴 파일의 이름을 '목록인쇄.bat'라고 한다. 확장자가 다르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메시지가 뜨지만 무시하고 넘어간다.
④ 목록인쇄.bat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인쇄'를 고른다. 메모장이 뜨면서 목록인쇄.bat가 열린다. 지금은 아무 내용이 없다.
⑤ 빈 칸에 dir >lpt1이라고 쓰고 메뉴에 있는 파일 → 저장을 고른 뒤 메모장을 닫는다.
⑥ 목록인쇄.bat를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다음 '등록정보'를 클릭한다.
⑦ '등록정보 대화상자' 창이 뜨면 프로그램 탭을 누른다.
⑧ 화면 아래에 있는 수행 메뉴를 눌러 최소화 항목을 고르고, 그 밑에 자리잡은 '종료시 닫기'를 체크한다.
⑨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띄워 HKEY_CLASSES_ ROOTDirectoryshell에 간다.
⑩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키를 차례로 고른다. 키가 생기면 이름을 print로 바꾼다.
⑪ 10과 방법으로 HKEY_CLASSES_ROOTDirectory shellprint에 밑에 command라는 서브키를 만든다.
⑫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printcommand의 오른쪽 창에 있는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창이 뜨면 빈 칸에 'c:windowscommand목록인쇄.bat'라고 쓴다.
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는다.
⑭ 탐색기에 있는 폴더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인쇄’ 명령을 누른다. 그러면 폴더와 그 안에 담긴 파일들의 목록이 인쇄된다.

command의 오른쪽 창에 있는 기본값 키를 마우스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창이 뜨면 빈칸에 'c:windowscommand목록인쇄.bat'라고 쓴다.


각종 단축 아이콘의 모양 바꾸기



네트워크 환경, 제어판, 전화접속 네트워킹,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을 바꿔보자. 작업 주소(표 참조)만 다를 뿐 편집 과정이 같으므로 하나만 제대로 익히면 나머지는 쉽게 바꿀 수 있다. 여기서는 휴지통을 예로 든다. 먼저, PC통신이나 인터넷에서 마음에 드는 아이콘(확장자가 ico이다)을 내려받아 적당한 곳(예를 들면, d:iconsfolder.ico)에 보관한다.

1단계.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DefaultIcon의 오른쪽 창에 있는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2단계. '스트링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 새로 쓸 아이콘의 주소를 집어넣는다. 여기서는 d:iconsfolder.ico라고 썼다.


※ 아이콘 모양을 바꾸는 레지스트리 키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 HKEY_CLASSES_ROOTCLSID{
208D2C60-3AEA-1069-
A2D7-08002B30309D}DefaultIcon

제어판 아이콘: HKEY_CLASSES_ROOTCLSID
{21EC2020-3AEA-1069-A2DD-
08002B30309D}DefaultIcon

전화접속 네트워킹 아이콘: HKEY_CLASSES_ROOTCLSID
{992CFFA0-F557-101A-88EC-
00DD010CCC48}DefaultIcon


중요한 메뉴 창이 뜨지 않도록 하기



바탕화면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등록정보'를 고르면 뜨는 '네트워크 등록정보' 창은 IP 주소와 통신 프로토콜을 관리한다. 바탕화면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정보를 고르면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이 뜬다. 여기서는 바탕화면의 배경 그림과 해상도를 조정한다. 레지스트리를 손보기 위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우려면 시작 버튼 → 실행을 고른 뒤 '실행' 칸에 regedit라고 쓴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와 네트워크 등록정보, 디스플레이 등록정보는 대단히 중요한 시스템 항목이다.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이것들이 수행되지 않도록 막을 필요가 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뜨지 않도록 해보자. 물론, 다시 뜨게 할 수도 있다.

1단계.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문자열 값을 차례로 고른다.

2단계. 새로 생긴 키의 이름을 disableregistrytools로 바꾼 뒤 다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3단계. 'DWORD 값 편집' 창이 뜨면 '값의 데이터' 칸에 00을 집어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4단계. 방금 만든 disableregistrytools 키를 체크한 상태에서 메뉴에 있는 레지스트리 → 레지스트리를 파일로 저장을 누른다.

5단계. '레지스트리를 파일로 저장' 창이 뜨면 적당한 곳에 보관한다. 여기서는 '작업' 폴더에 reg라는 이름으로 두었다.

6단계.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지 않도록 할 차례다. disableregistrytools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7단계. 'DWORD 값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 있는 00을 01로 고친다.

8단계. 이제 시작 버튼 → 실행을 골라 창을 띄운 뒤 '열기' 칸에 regedit라고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9단계. 그 전까지 잘 뜨던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열리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레지스트리를 손대지 못하게 하려면 이 상태로 PC를 쓴다.

10단계.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다시 띄우려면 5단계에서 만든 reg.reg 파일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11단계. reg.reg 파일의 내용을 레지스트리에 더하겠다는 메시지다. '예' 버튼을 누르면 키 값이 00으로 바뀐다. 이제부터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뜬다.

12단계. 11단계의 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었다는 글이 보인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모든 작업이 끝난다.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와 네트워크 등록정보 창을 띄우지 않게 하는 방법도 비슷하다.
disableregistrytools 키가 있는 곳에 디스플레이 등록정보는 nodispcpl를, 네트워크 등록정보는 nonetsetup를 만든다. 그런 다음 이들 키 값을 00으로 하면 창이 뜨고, 01로 고치면 열리지 않는다.

내 컴퓨터 아이콘을 누르면 탐색기가 뜬다

바탕화면에 등록된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여러 가지 명령이 나타난다. 바로 이때 명령 대신 탐색기가 뜨도록 할 수 있다.

1단계. HKEY_CLASSES_ROOTCLSID{20D04FE0-3AEA-1069-A2D8-08002B30309D}shell의 오른쪽 창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 → 키를 고른다.

2단계. shell 아래에 키가 생기면 이름을 open으로 한다.

3단계. open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등록 → 키를 고른다.

4단계. open 아래에 생긴 키의 이름을 command로 바꾼다.

5단계. command 키의 오른쪽 창에 자리잡은 기본값 키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

6단계. '스트링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 explorer.exe라고 쓴다. 이제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탐색기가 뜬다.

 


하드가 이유 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 때...

1).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표시등이 계속 켜지면서 하드가 작동을 한다면 다음 설정을 해제한다. 제어판-> 관리도구-> 서비스-> Indexing Service-> 속성-> 사용 안함.

2). 아래에서 말 할 Diskeeper의 능력 중에 일부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Windows 기본 조각모음도 마찮가지이지만 이 넘도, 역시 디스크 조각모음(DFRG.MSC)만 하는 것이 아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2가지 더 있다.
Disk Defragmenter FAT File System Module (DFRGFAT.EXE) : FAT16-32용 Disk Defragmenter NTFS File System Module (DFRGNTFS.EXE) : NTFS용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 둘 중에 한가지가 자동실행 된다. 이 프로그램들은 부팅 시(부트영역)에 이용되는 시스템 파일들을 최적화(Boot Optimize) 합니다.
가끔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디스크가 열심이 `드륵~뜨륵~` 읽는 소리가 들리는 것은 대부분 이 놈들 때문이죠!
소음의 `주범` 이자! 하드 노화의 `선구자` 입니다.
물론 알아서 `부트`영역 최적화 해 주면 편하고 좋다! 그런데 투입시간에 비해서 효율성이 아주 떨어진다. 어차피 한 달에 1~2번 `조각모음`을 할 것이고 대단위 서버용이거나 대형 컴퓨터가 아닌 이상 개인 컴퓨터에서는 매분 매초마다 디스크를 점검하는 것은 쓸데 없는 일이다.
그럼 이 프로그램만 조용히 잠재우는 방법은???

Regedit=>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Dfrg> BootOptimizeFunction 에서 문자열 ' Enable '에 데이터 값 “ Y “ 를 -> “ N “ 으로 값만 바꾸어 주시면 됩니다.

로그오프나 재 부팅 후 적용 됩니다.
그리하면 조용한 밤 당신을 괴롭히는 소음은 사라집니다. [나는 “OptimizeComplete”(부팅최적화 백그라운드 작업)까지 No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