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COMSOC APOLCO 85ETH PLC 이더넷 어댑터

Lee-Sun 2010. 2. 16. 22:13
COMSOC APOLCO 85ETH PLC 이더넷 어댑터
2008-06-03 16:16:58

  

 

 

 

한때 한국전력공사에서 야심차게 준비하던 사업이 있었다. 전력선 인터넷으로 기존 광망을 통하는 인터넷보다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전력이 닿는 곳이라면 산골 오지 어디서든 인터넷 개통이 가능한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전국토의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 가장 먼저 다가설 수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어떤 문제인지 모르나 한국전력공사에서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던 전력선 인터넷 사업을 접어 버렸다.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민간 사업체의 인터넷 서비스는 전화선이나 광케이블을 이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지역적 제한성과 함께 장비 설치의 부담을 지니고 있다. 그나마 전화선이전력선 못지 않게 저변 확대가 이루어져 있긴 하지만, 전력선만 못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두말할 필요없기 때문에 전력선 인터넷은 두고두고 아쉬움을 준다.

 

전기만 닿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인터넷의 세상을 열어갈 수 있던 사업이 무산되면서 전력선 통신에 대한 관심도 많이 사그라들었다. 이런 가운데에서도 몇해전부터 간간히 소개되는 전력선 통신 제품이 있다. 바로 PLC 이더넷 브릿지(Ethernet Bridge 혹은 이더넷 어댑터)이다. PLC 이더넷 어댑터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랜카드라 여기면 이해하기 쉽다. 각 가정, 각방마다 전원 콘센트가 없는 곳은 거의 없다. 이런 콘센트에 PLC 제품을 장착만 하면 집안 어디서든 인터넷의 공유가 가능한 편리성을 지니고 있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는 말그대로 전력을 통한 상호소통이 가능한 제품을 의미한다. 흔히 "두꺼비집"이라고 부르는 차단기나 변압기를 기점으로 하나의 차단기내에서는 전력선을 통한 인터넷 공유와 네트워크 연결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랜카드처럼 UTP 케이블이 연결된 지역에서 인터넷 공유가 가능한 것과 비슷한 이치다. 그렇다면 굳이 전력선 이더넷 어댑터를 사용할 이유는 무엇인가?란 의문이 생긴다. 이는 PLC가 유선 네트워크의 단점과 무선 네트워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중간자적인 시스템으로 운용되기 때문이다.

 

케이블을 통한 유선 연결의 장점은 빠른 전송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일반사용자들의 케이블 설비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아마도 집안을 빙빙 돌아 치렁거리는 케이블로 인해 상당히 불편했던 기억이 대부분 있을 것이다. 그러나 PLC는 최초 ISP 모뎀->공유기->PLC->콘센트->PLC->PC 시스템의 구성에 의하기 때문에 전원 콘센트만 있는 곳까지 케이블만 연결하면 되어 선에 의한 불편함과 설비 시공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케이블이 전혀 필요없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편리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무선 네트워크의 최대 단점은 전송속도와 거리의 한계성이다. 비록 802.11n 라우터의 출시로 속도와 거리상의 문제점이 일부 해소되었으나, 장비의 구입비용에 부담과 함께 여전히 성능에 대한 단점이 지적된다. PLC는 최소한 케이블 연결로 유선 네트워크 단점을 극복하고 무선 네트워크의 단점인 전송속도와 전송거리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무선 네트워크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만을 계승한 제품이다.

 

 

 

 

 

 

▲ PLC 구성도(COMSOC사 홈페이지 발췌)

 

PLC 제품은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의 중간자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장점만 지닌 제품이 없듯이 단점도 지니고 있다. 바로 구입 비용의 부담이다. Apolco 85ETH는 싱글팩과 더블팩으로 판매된다. 더블팩은 두 개의 85ETH로 구성되었고, 싱글팩은 하나만 판매된다. 최소 환경은 85ETH 두 개가 있어야 하지만, 이후에는 싱글팩만을 구입하면 된다. 더블팩이 8만원의 구성이니 두 대의 PC 시스템 혹은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이보다 많은 구입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그렇기에 모든 PC 시스템을 85ETH로 구성한다것은 막대한 비용 지출이 예상되어 쉽지 않은 선택이다. 케이블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와 비교한다면 가격대 성능비는 떨어지는 셈이다. 그렇다면 PLC의 활용처에 대한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 PLC는 유무선 랜의 대체이기도 하지만, 기존 방식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공간에서의 활용성을 지니고 있다. 최신 건축물은 네트워크 인프라가 이미 설계되어 있어 유선 네트워크로도 문제가 없으나, 네트워크 시대 이전의 구건축물에서는 네트워크의 연결이 무선이나 고생을 동반하는 유선 네트워크화 뿐이다.

 

오랜된 공장 설비, 단독주택, 모텔, 팬션등 네트워크화 이전의 모든 건축물이 85ETH의 주 대상이 될 수 있고, 이런 지역에서는 별도의 설비 과정없이도 전력선이 닿는 곳이면 어디서든 네트워크 공유가 가능해진다. 네트워크화된 건축물이라 할지라도 해가 갈수록 늘어나는 네트워크 장비를 모두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전력선을 통한 네트워크 공유가 PLC의 활용처이며 유비쿼터스의 실현에 바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APOLCO 85ETH 사양

표준 규격

IEEE802.3x(10/100?-TX), HomePlug AV

지원 포트

Ethernet RJ45 1Port

전송 거리

200m이내 송수신 가능

보안 설정

-64/128bit  DES PLC 보안 암호화
-QoS 기능 지원

특징

-SD 영상 스트리밍 최적화
-선없는 홈네트워킹 구현 가능

LED

Powerline link, Ethernet activity, Power LED

크기

87 x 89 x 65mm(세로x가로x폭)

제조사

COMSOC(http://www.comsoc.com)

시중가

80,000원

 

 

 

 

 

COMSOC사의 국내 유통사인 이시티에서 출시한 85ETH는 더블팩으로 내부에는 상기 사진과 같이 포장되어 있다. 표면을 하이그로시 코팅했기 때문에 스크래치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부속품은 박스내 빈공간에 위치한다.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국내의 발매는 더블팩만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PLC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초심자 입장에서는 더블팩이 유리하나, 기구매자들을 위한 싱글팩도 필요할 것이다.

 

 

 


 

제공되는 부속품으로는 1.83m 길이의 이더넷 케이블, 설치가이드, 보증서, 사용설명서등이다. 설치 CD는 제공되지 않고, COMSOC 홈페이지나 이시트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면 된다. 85ETH는 드라이버의 설정과정 없이 연결 자체만으로도 상호간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안설정등이 필요없다면 그냥 전기가 닿는 곳이면 어디든 장착하면 된다.

 

 

 

 

 

 

 

APOLCO 85ETH는 거의 사각형의 디자인으로 테스터가 이전에 보아왔던 PLC 제품중 가장 작은 모델이다. 얼핏보면 AC 어댑터와도 비슷한 디자인을 취하고 있고 사이즈면에서도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양표에서와 같이 두께가 65mm이긴 하나, 커넥터를 제외한다면 두껍다고 여겨질 만한 크기는 아니다. 아이보리톤으로 깨끗한 이미지를 주며, 전면에는 발열을 위한 에어홀이 촘촘히 타공되어 있다. 동작 상태를 알리는 세 개의 LED가 탑재되어 있어 손쉽게 85ETH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상단면 에어홀과 동작상태 LED

 

전체의 모서리에 라운딩을 주어 부드럽게 처리했으며, 구석마다 세로줄의 에어홀을 타공해 발열에 대한 우려를 씻고 있다. 어떤 가전 제품이든 전원을 사용하므로 발열은 필수적으로 발생한다. 발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면 오작동과 함께 성능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발열 솔루션은 필수적이다.

 

전면에 배치된 LED는 전원 on과 동시에 노란색으로 점멸하게 된다. 현재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LED로 위로부터 전원 LED, PLC 연결 상태 LED, DATA LED등이다. PLC 연결 상태 LED는 동일 85ETH가 전력상에 위치하면 LED가 발광한다. 데이터 LED는 데이터의 전송시 점멸하게 된다.

 

 

 

 

 

APOLCO-85ETH의 구조는 본체와 전원 콘센트에 장착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졌다. 일체형의 구조로서 쉽게 콘센트에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비해, 크기로 인한 불편함도 있다. 벽면 콘센트의 경우에는 별다른 지장이 없지만, 멀티탭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마지막 콘센트 소켓에 장착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다른 소켓까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하단면에는 라우터와 연결하거나, PC 시스템의 랜카드와 연결하는 RJ45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번에 이시티 유통사에서 출시한 제품은 85ETH지만, COMSOC사의 제품중에는 시리얼 포트에 연결할 수 있는 RS-232 단자를 장착한 제품도 있다. 일반 가정용이나 사무용이 아니고 산업용 제품이다. RS-232/ RS-485 단자 제품인 85SRS나 85RE는 최대 속도가 921.6Kbps만을 지원하게 된다. 제공된 랜케이블을 장착하고 연동 시스템과 연결하면 장착과정은 마무리된다.

 

 

 

 

▲ APOLCO-85ETH와 랜케이블 연결 모습

 

 

 


 

PLC간 연결 방법은 전력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러그가 일체형으로 탑재되어 있다. 테스터에게는 APLOCO-85ETH가 세 번째 PLC 이더넷 어답터인데, 항상 플러그 일체형에 대해서는 수정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주장해 왔다. 벽면 콘센트에 장착하기에는 유리한 구조지만, 멀티탭이 일상화된 요즘 시점에서 클라이언트 PC는 거의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 개선하려면 플러그를 케이블화해 플러그만 꽂을 수 있는 형태가 좋지 않을까 한다.

 

 

 


 

배면에는 85ETH 장치에 대한 각종 정보가 담긴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시리얼 번호, 맥주소, 장치 패스워드등이 기재되어 있다.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워크지만, 85ETH 자체도 전원이 필요한 제품이다. 전원은 AC 100~240V 0.06A로 전력소비는 미미한 편이다.

 

 

 


 

 

 

 


 

PLC 제품의 내부구조는 생각보다 단순한 편이다. 전력선 제품이니만큼 전원에 대한 필터링 부품과 네트워크를 위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에 위치한 나사 하나만 풀면 자연스럽게 케이스를 개봉할 수 있다.

 

 

 


 

내부의 바닥면에는 AC 전원에서 유입되는 맥류와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EMI 필터부와 정류 캐패시터등이 위치한다. AC 전원을 직접 거쳐야 하는 특성상 대부분은 전원에 대한 부품으로 가득하다. 측면에 마이크로 카드로 부착된 부분이 바로 네트워크에 관련된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다.

 

 

 


 

Intellon사 INT5500CS로 PLC 제품의 대표적인 브랜드라 할 수 있다. 국내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PLC 제품은 인텔론사의 칩셋을 탑재하고 있을 정도다. INT5500CS는 MAC/PHY 트랜시버 칩셋인 INT5500A1G 칩셋과 INT1200 Analog Front End IC로 구성되어 있다.

 

 


▲ Intellon사 INT5500CS 구성도(인텔론사 홈페이지 발췌)

 

MII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전력선 네트워킹 트랜시버 싱글칩인 INT5500은 85Mbps 전송속도와 HomePlug 1.0 이상과 호환된다. 56비트의 DES 암호화로 보안성을 지니고 있다. 85M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지니는 INT6000/ INT6300의 하위 모델이긴 하나 SD 영상 구현과 IPTV 지원에 적합하다. VoIP 및 온라인 게임등에서도 무리없는 전송속도이므로 가정용 PLC로서는 괜찮은 편이다.

 

 

 

 

▲ INT5500A1G & INT2100ADG 칩셋

 

 

 

 

▲ Realtek사 RTL8201CP Ethernet PHYCEIVER

 

이더넷 PHY시버 칩셋으로는 리얼텍사의 RTL8201CP 칩셋을 탑재하고 있다. RTL8201CP는 10/100Mbps의 전송속도 대역폭을 지원하며, 자동 크로스오버를 지원해 동종 PLC 제품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한다.

 

개략적으로 주요 부품만을 살펴보았다. 작년에 출시된 PLC 200Mbps 제품의 경우 홈플러그 AV를 지원해 HD/ SD 영상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INT6000/ INT6300 칩셋을 탑재한 반면 이번 COMSOC APOLCO 85ETH는 SD 영상과 VoIP등의 홈플러그 1.0.1를 지원한다. 200Mbps 이상의 PLC 제품들이 평균 30~50Mbps의 전송속도였기 때문에 85Mbps인 85ETH는 30Mbps 이하의 속도가 예상되지 않을까 한다.

 

 

 

 

 


 

PLC 제품에 대한 별도의 프로그램 CD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등의 설정으로 프로그램이 필요하면 인텔론사 홈페이지(http://www.intellon.com)에 접속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앞서 내부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LC 제품은 거의 인텔론사의 칩셋으로 구성되어 있어 프로그램도 같은 종류를 사용한다.

 

 

 


 

파워패킷 유틸리티를 실행하면 상기 초기화면이 출력된다. 로컬상 연결된 PLC 장치를 검색하고 자동으로 연결해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한다. 연결된 PLC 장치의 맥어드레스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되는 PLC 장치에는 암호화를 통해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게 된다.

 

 

 

▲ 패스워드 입력창

 

 

 


 

프라이버시 설정은 공유된 네트워크상에서 현재 PLC 이더넷 어댑터를 사용하는 PC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도록 하는 설정이다. 하단에는 현재의 로컬 장치만 할 것인지, 모든 PLC 장치에 적용할지의 설정이다.

 

 

 


분석 메뉴는 라우터에 연결된 PLC 장치의 맥어드레스를 비롯해 홈플러그된 PLC 장치의 맥어드레스, 벤더사, 펌웨어버전등을 상세히 알려주고, 네트워크 PC의 정보도 간략하게 출력해준다.

 

 

 

 

▲ Intellon사 파워패킷 유틸리티의 정보

 

마지막 파워패킷 유틸리티의 정보에는 버전 정보와 함께 인텔론사의 홈페이지 주소와 링크가 기재되어 있고, 설정에는 자동 스캔으로 메인 메뉴의 스캔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파워패킷 유틸리티는 패스워드 메뉴가 필요없다면 굳이 설치하지 않아도 APOLCO 85ETH를 동작시키는데 어려움이 없다.

 

 

 


 


 

 ▷ Test System's Specification

구분

도시바 새틀라이트 A100

DESKTOP PC System

CPU

INTEL M420 1.6GHz

AMD Phenom 9500

M/B

INTEL 945G

AMD 780G m-ATX

RAM

DDR2 PC4200U 1.5GB

DDR2 PC6400 2GB

VGA

ATI Radeon X200

Geforce 9600GT 512MB

HDD

SATA 80GB

SATA2 250GB

ODD

Pioneer DVR-K16A

CDRW 24X

PSU

-

EMD525AWT

Ethernet

RTL8139C

RTL8111B

SOFTWARE

WINDOWS XP SP2, IPERF

 ▷ Network's Specification

ISP

하나로통신 주택광랜급

지원 속도

하향 100Mbps/ 상향 100Mbps

Router

IPTIME Q104/ V11

Cable

Cat.5e

 

 

 


 

 

▲ 유선 로컬 연결

 

평상시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전송속를 측정한 결과다. 하향 평균 94.1Mbps/ 상향 평균 46.4Mbps로 상향 전송속도는 떨어지는 감이 있으나, 해당 지역에 대한 편차이고 APOLCO 85ETH의 예상 전송 속도가 30Mbps 이하임을 감안하면 테스트에는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후 전송속도 테스트는 85ETH를 연결해 측정한 결과다.

 

 

 

 

▲ MYSPEED 사이트 전송속도 테스트 결과

 

 


▲ 하나로텔레콤 사이트 전송속도 테스트 결과

 

 

 

▲ 벤치비 사이트 전송속도 테스트 결과

 

품질측정은 세 곳의 사이트에서 비슷한 시간대에 측정한 결과로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웹상의 품질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어 시간차에 따른 지역적 트래픽 변수가 따르고,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정확도가 다른 탓이다. 이런 이유로 웹상의 품질 측정은 참고사항으로 보는 것이 좋다.

 

 

 


 

테스트 결과치를 그래프화하면 APOLCO 85ETH의 성능을 파악하기 쉽다. 상향속도의 경우 대략 7Mbps 정도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하향속도는 11Mbps 정도다. 핑값은 5ms로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전송속도에 대해 실망스러워 할 수도 있으나, 테스터는 예상했던 결과값이었다. 85Mbps의 규격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이론상의 속도일 뿐이고 실생활속에서는 많이 떨어지게 된다. 물론 현재 대비되는 802.11g 무선 라우터의 전송속도가 30Mbps 이상을 구가하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PLC 이더넷 어댑터의 속도에 대한 실망감이 더 클 수도 있지만, 이 결과는 멀티탭과 노후환된 건물내 전력선을 연결한 결과이므로 크게 실망할 필요는 없다.

 

 

 

 

 


 

PLC 이더넷 어댑터는 전기선을 통해 동종 장치간 네트워킹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 사무실, 빌딩등의 전력선 상태가 전송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과거 우리는 110V 전압을 사용하다 전력선의 노후화로 인해 220V로 승압한 전례가 있다. 이는 노후화에 따라 전력의 손실이 크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저항이 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최신 건축물이라면 전력선에 따른 저항 손실을 염려할 필요는 없지만, 노후화된 건축물에서는 전력선의 저항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PLC 제품들의 활용처가 노후화된 건축물등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물론 현대식 건축물에 네트워크 인프라가 잘 되어 있다 하더라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쓰임새가 많다. 그럼 이제 전력선의 상태에 따른 전송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테스트를 통해 알아보기로 한다.

 

 

 

 

▲ 멀티탭간 대역폭 측정 결과

 

전송속도를 측정한 툴은 아이퍼프(iperf)로 외적 변수없이 네트워크 장치 자체의 전송속도를 측정하기에 최적의 프로그램이다. 신뢰성이 높고 사용법이 간단하며 시간대별 변동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는 멀티탭에 85ETH를 나란히 장착한 후 결과다. 가장 노후화가 덜된 전력선이라고 한다면 멀티탭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측정결과는 평균 32.7Mbps이다. 실로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85Mbps급 PLC에서 30Mbps를 상회하는 결과이기 때문에 전력선만 뒷받침된다면 HD 영상 스트리밍에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 멀티탭+외벽 콘센트 조합 대역폭 측정 결과

 

멀티탭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에 장착된 85ETH간의 전송속도 결과로 평균 18Mbps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노후화된 건물내 전력선에 의한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고, 전력선에 노후화가 전송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실히 알 게 해 준다.

 

 

 

 

▲ 외벽 콘센트간 대역폭 측정 결과

 

그럼 건물 자체만의 전력선으로 측정한 전송속도를 보면, 테스트를 실행한 건물의 전력선 노후화 정도를 가늠케 한다. 이미 20년 이상된 빌딩 건물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전력선 노후화를 예상했으나 이 정도로 노후화되었을 것이라고 생각지 못했다. 외벽 콘센트간 측정 결과는 평균 11.9Mbps로 앞선 멀티탭 조합에서 보여준 전송속도보다 못해 노후화된 건물이라면 전력선이 양호한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 전송속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전력선의 노후화에 따르는 전송속도 변동폭을 확인해 본다. 가장 양호한 품질의 전력선 대상이었던 멀티탭은 변동이 거의 없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멀티탭과 건물 전력선간 변동폭은 일정 부분 흔들림이 발생하나 그런대로 괜찮은 편이다. 그러나 건물 전력선간 변동폭은 급락의 발생은 물론이고 흔들림도 지속적으로 발생해 전력선의 품질이 왜 PLC 이더넷 어댑터에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하게 알려준다.

 

 

 


 

전송거리에 따르는 속도의 측정은 사실 신빙성이 떨어지는 테스트다. 신빙성이 없다는 것은 각 건물의 전력선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전력선은 일직선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고 별과 기둥, 천장등을 돌아 설치된다. 85ETH의 전송거리가 200m라 하더라도 눈으로 보이는 지역의 콘센트라 할지라도 몇 미터 지역에 위치하는지 모르므로 서버에서 가장 먼지역등을 대상으로 전송속도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기로 한다.

 

 

 

 

▲ 지하 보일러실에서 전송속도 측정

 

측정 대상 건물의 전력선이 노후화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인지 전송속도는 평균 5.41Mbps를 출력하고 있다. 이는 전력선이 가장 양호할 때의 수치인 32Mbps의 1/6밖에 해당하지 않지만, 지하에 위치한 지역에서 인터넷 공유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위안을 삼을만 하다. 이 지역은 무선 네트워크가 전혀 닿지 않는 음영 지역이고, 랜케이블 설비를 하더라도 최소 30M 이상은 가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PLC 이더넷 어댑터가 아니라면 인터넷 공유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그동안 인터넷 공유가 쉽지 않은 공간에서도 APOLCO 85ETH는 네트워크 공유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유무선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가장 어렵다는 복층식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전문가의 도움없이 전원 콘센트에 85ETH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설비를 대신할 수 있다. 그리고 근래 증가하고 있는 팬션의 경우 소규모 주거형태이기 때문에 유무선 네트워크가 힘든 단점이 있었지만, 이제는 PLC 이더넷 어댑터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다.

 

단, 85ETH의 전송거리가 200m 라 할지라도 차단기/ 변압기 이상을 지날 수는 없다. 즉, 단일 전력 구조를 띄고 있는 건물내에서만 네트워크 공유가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PLC 이더넷 어댑터인 APOLCO 85ETH의 활용은 어떤 것이 있는가는 생활 주변을 살펴보면 된다. 우리의 일상 생활은 인터넷과는 무관할 수 없게 되었고, 인터넷의 활성화에 따라 수 많은 네트워크 지원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사진은 테스터가 다루었던 네트워크 제품들로 이 제품들을 모두 유선으로 연결한다면 그야말로 선정리로만 시간을 보내고 말 것이고, 원하는 위치에 놓기도 힘들다.

 

근래 각광받는 있는 인터넷 컨텐츠 중 하나인 VoIP 폰의 경우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하다고 하나, AP를 어느 지역에 두느냐에 따라 깨끗한 통화 품질이 가능한 수신 범위가 결정지어진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거실에 위치하기를 원하지만, ISP 모뎀, 공유기의 위치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보통은 PC 시스템이 위치한 방에 ISP 모뎀과 공유기도 함께 위치하게 되어 VoIP 폰의 AP도 자연스럽게 그 지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 방 한쪽으로 치우쳐 있게 되어 무선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대한 불만도 늘어나고 있다.

 

거실은 일상 생활의 중심 지역이고, 위치상으로도 대부분의 건축물의 중앙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실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에서 VoIP 폰의 AP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복잡도 하지만, 케이블이 방을 질러 설비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이럴 때 85ETH만 콘센트에 장착하고 AP에 연결해 주면 된다. 이렇게 PLC 제품은 유선. 무선 네트워크가 갖지 못하는 공간의 활용성과 설비의 복잡성등의 단점을 메꿔줄 수 있는 제품이다.

 

 

 

 

▲ 코스코전자 PLB-200(200Mbps 제품)

 

다만, 이런 가운데 뜻하지 않은 단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기 사진은 현재 사용중인 PLB-200으로 PLC 제품으로서는 가장 최신작이라 할 수 있는 200Mbps 제품이다. 탑재된 MAC/ PHY 칩셋은 INT6600으로 HD/ SD 영상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PLC 제품이기 때문에 당연히 호환되리라 생각했지만, 호환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Intellon사 홈페이지에도 나온 내용이지만, INT5500 칩셋은 INT6600 칩셋과 호환되지 않는다 밝히고 있다. 이것은 PLC 제품의 사용자로서 당황스러운 결과라 할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의 최대 장점은 호환성이다. 어떤 제품을 사용하던 상호 연동이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 혹은 동칩셋간 제품만 호환이 된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 PLC 제품의 구입이 꺼려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가 될 것이다.

 

 

 


 


 

 

 

COMSOC APOLCO 85ETH는 PLC 이더넷 어댑터로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아담한 사이즈로 작아진 디자인과 장착만 하면 동종 제품간의 연결이 쉽다. 유선 네트워크의 설비의 문제점과 선의 정리를 말끔히 해결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거리에 따른 주파수 저하 현상과 복층 구조 및 구조물 재질에 따른 전송속도의 변동성등도 말끔히 씻어낸다. 이렇게 유.무선 네트워크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서 PLC 이더넷 어댑터는 훌륭히 제 몫을 한다. 또한 성능에서도 85Mbps급 제품임에도 실측 최대속도가 33Mbps로 나타나 성능의 우수성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다만, PLC 이더넷 어댑터가 갖는 단점은 전력선의 상태에 따라 전송속도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신축 건축물이라면 전력선의 상태가 좋을 것이므로 성능의 저하는 감소하겠지만, 이런 신축 건물은 네트워크 설비를 기본으로 설계하기 있기에 주대상인 구형 건축물에서는 성능적인 저하를 감내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동칩셋간 PLC 이더넷 어댑터와는 호환성에 문제가 없을지 확인된 것은 아니나, 상위 제품인 INT6600 칩셋 제품과는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점에서 아쉬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핵심은 PLC 제품을 일반 소비자들은 거의 모른다는 사실이다. 네트워크 분야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을 제외하고는 일반화된 공유기조차 어려워한다. 이런 현실속에서 활용처가 다양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PLC 이더넷 어댑터의 홍보가 중요할 것이다. PLC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시연회등과 지속적인 지면, 인터넷 홍보를 통해 꾸준히 알림으로서 활로를 찾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