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의 계좌관리 비법
돈을 벌고 쓰는 일만큼 쉬운 일은 없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각하리만큼 관리를 잘 못하고 있습니다. 많이 버는 것 같은데 실제로 저축할 돈은 없고, 저축할 만하면
이상하게 지출할 일들이 생기고, 별로 낭비하지도 않는데 늘 쪼들립니다. 이런 원인들 중 상당
부분이 약간의 조언과 노력으로 쉽게 고칠 수 있는 잘못된 계좌관리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부자들의 계좌관리 비법을 통해 나의 수입과 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봅시다.
1단계 : 계좌 나누기
계좌를 크게 “결제계좌”와 “이벤트계좌” “투자계좌”로 나눕니다.
① 결제계좌
카드결제 및 현금 입출금이 가능한 은행계좌를 말합니다. 급여가 입금되는 통장도 여기에 해당
됩니다. 주의할 점은 마이너스 대출을 받고 있지 않다면 결제계좌에 마이너스 대출 기능을 두지
않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② 이벤트계좌
쓸 곳이 확정적으로 정해져 있는 돈을 미리 만드는 계좌입니다. 큰 돈이라면 목돈 운용을 해야 하고, 돈이 없다면 적립계좌를 통해 모아야 합니다. 이 계좌에 예치된 돈은 실제로는 소비를 위한 돈에 가깝기 때문에 다음의 투자계좌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③ 투자계좌
최 소한 단기적으로 써야 할 돈이 아니라 먼 장래를 위해 모아야 할 돈을 적립하는 계좌입니다. 10년 후 자녀 교육자금을 미리 준비하거나 부부의 노후자금, 은퇴자금 등을 준비하기 위한 계좌를 말합니다.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토지를 구입하기(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자산을 구입하기) 위한 적립계좌도 이에 속합니다.
2단계 : 수입과 지출의 관리
모든 수입은 한 계좌를 통해 관리합니다. 사업상 성격이 다르다면 성격별로 한 계좌를 만들어
관리합니다. 은행 결제계좌로 입금되면 생활비(또는 사업비), 보험료, 카드결제를 제외한 모든
돈 을 잉여자금 바구니(증권사 또는 은행의 다이렉트 뱅킹)로 이체합니다. 이곳에 쌓여진 돈이야 말로 귀하의 의지에 따라 소비될 수도, 투자될 수도 있는 종자돈입니다. 다이렉트 뱅킹으로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이 상품이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수익률도 거의 정기예금에 버금가기 때문입니다.
3단계 : 쌓이면 투자하라
MMF로 돈이 계속 쌓일 것입니다. 예정에 없이 갑자기 닥칠 비상금의 규모(사업하는 분들은 좀 더 많은 금액)을 남겨놓고 이를 초과하는 돈은 앞에서 나눈 이벤트 계좌와 투자 계좌로 모두 이동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선 투자, 후 지출의 안정적인 자산관리 구조가 달성될 것입니다.
<효과적인 계좌 관리법>
1. 수입금이 입금된 계좌에서 보험료, 카드결제, 생활비의 예산액을 남기고 모두 잉여자금계좌(다이렉트 뱅킹)로 옮깁니다. 결제계좌 자금이 부족하다면 이를 과소비를 한 것으로 인식하여야 합니다.
2. 잉여자금계좌에 쌓인 돈이 비상금이 될 만큼 놓아 두고(보통 3개월치 생활비 수준) 이를 넘어설 경우, 미리 정해진 투자전략에 따라 이벤트계좌, 결제계좌로 자금을 이체합니다.
-----------------------------------------------------------------------------------------------
개발자의 역량 관리 비법
① 기초와 본업에 충실하라
구구단을 외울 때는 왜 외어야 하는지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저 한 쪽 벽에 붙여 놓고 하루에도 수십 번씩 엄마의 리듬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초등학교 3학년이 되니 곱하기 문제가 나오기 시작한다.
4*3 이지만 우리는 익숙하게 사일은 사, 사이 팔, 사삼 십이^(강하게)를 읊으며 답을 적어 내려간다. 구구단을 외지 않았으면, 어찌하여 사각형 넓이에서 미분, 적분까지 발전할 수 있었을까?
서두가 길었지만, 선생님들이 누누이 강조하는 기초에 충실 하라는 말을 새삼 기억하길 바란다.
과목을 망라하고 모든 강좌에는 기초,중급,고급반이 있고, 그에 맞는 절차가 있다.
지금 내게 필요한 건 두꺼운 응용 편이 아닌 기초가 담긴 '성문기본 문법 편'이 아닌가 자문해 보기 바란다.
② 두루 식견을 넓혀라
java 만 할 수 없고, Oracle SQL Syntax 만 잘 한다고 해도 문제될 것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렇다고 All-around Player가 되라는 말은 아니다.
최소한 무지함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발자라면 java, .net, C#, php, C++, PB 등의 개발 언어 중 최소한 한 개를 알고 있다는 출발점에서 DB, 시스템 특성, Unix Command, Network 및 TCP/IP 등도 두루 식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편식 하는 사람은 어머니가 걱정하고, 과식 하는 사람은 주변 사람이 부담스러워 하는 것처럼 모자람도 지나침도 없는 것이 개발자에게도 이상적이다.
③ 현업은 VIP 고객이다
이 말은 사실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일을 하다 보면 가장 Cost 가 많이 드는 것은 사람과의 Communication 에서 나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때문에 이것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금 Code 한 줄 Typing 할 시간도 부족한 지금이라면, 더욱더 카네기의 '인간관계론'과 '행복론'을 먼저 필독 하고 나아가도 늦지 않을 것이다.
이미 그 code 는 프로젝트 마지막 단계에 꼭 변화(change) 될 것이기 때문이다.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두 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현업은 VIP 고객이다' 라는 생각이다. code로 못 푸는 건 만나서 소주로 풀어주는 게 비교적 싸게 먹힌다.
누구나 개발자의 길로 들어설 때 출사표를 던졌을 것이다. 삼국지에서 관우는 본인 보다 나이 어린 제갈공명에게 싸움에 나가기 전 반드시 승리하고 돌아 오겠으며, 패했을 경우 군령 을 달게 받겠다는 출사표를 던지고 적진으로 돌진한다.
그리고 싸움 내내 그 출사표를 기억하며 최선을 다하여 이기고 금의환향을 했다. 그렇게 이룩한 것이 삼국 시대의 촉 나라다. (..하지만 관우는 끝내 자만심에 목숨을 잃고 만다.)
단편적이지만 날 잘 드는 Eclipse 와 Toad 또는 Orange 따위가 있지만, 병법 하나 모르면서 자만함으로 적진으로 돌진했더라면 주인 없는 몸만 남아 죄 없는 소주만 들이키고 있을지 모른다. 주머니엔 소주 값도 없으면서....
돈을 벌고 쓰는 일만큼 쉬운 일은 없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각하리만큼 관리를 잘 못하고 있습니다. 많이 버는 것 같은데 실제로 저축할 돈은 없고, 저축할 만하면
이상하게 지출할 일들이 생기고, 별로 낭비하지도 않는데 늘 쪼들립니다. 이런 원인들 중 상당
부분이 약간의 조언과 노력으로 쉽게 고칠 수 있는 잘못된 계좌관리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부자들의 계좌관리 비법을 통해 나의 수입과 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봅시다.
1단계 : 계좌 나누기
계좌를 크게 “결제계좌”와 “이벤트계좌” “투자계좌”로 나눕니다.
① 결제계좌
카드결제 및 현금 입출금이 가능한 은행계좌를 말합니다. 급여가 입금되는 통장도 여기에 해당
됩니다. 주의할 점은 마이너스 대출을 받고 있지 않다면 결제계좌에 마이너스 대출 기능을 두지
않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② 이벤트계좌
쓸 곳이 확정적으로 정해져 있는 돈을 미리 만드는 계좌입니다. 큰 돈이라면 목돈 운용을 해야 하고, 돈이 없다면 적립계좌를 통해 모아야 합니다. 이 계좌에 예치된 돈은 실제로는 소비를 위한 돈에 가깝기 때문에 다음의 투자계좌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③ 투자계좌
최 소한 단기적으로 써야 할 돈이 아니라 먼 장래를 위해 모아야 할 돈을 적립하는 계좌입니다. 10년 후 자녀 교육자금을 미리 준비하거나 부부의 노후자금, 은퇴자금 등을 준비하기 위한 계좌를 말합니다.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토지를 구입하기(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자산을 구입하기) 위한 적립계좌도 이에 속합니다.
2단계 : 수입과 지출의 관리
모든 수입은 한 계좌를 통해 관리합니다. 사업상 성격이 다르다면 성격별로 한 계좌를 만들어
관리합니다. 은행 결제계좌로 입금되면 생활비(또는 사업비), 보험료, 카드결제를 제외한 모든
돈 을 잉여자금 바구니(증권사 또는 은행의 다이렉트 뱅킹)로 이체합니다. 이곳에 쌓여진 돈이야 말로 귀하의 의지에 따라 소비될 수도, 투자될 수도 있는 종자돈입니다. 다이렉트 뱅킹으로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이 상품이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수익률도 거의 정기예금에 버금가기 때문입니다.
3단계 : 쌓이면 투자하라
MMF로 돈이 계속 쌓일 것입니다. 예정에 없이 갑자기 닥칠 비상금의 규모(사업하는 분들은 좀 더 많은 금액)을 남겨놓고 이를 초과하는 돈은 앞에서 나눈 이벤트 계좌와 투자 계좌로 모두 이동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선 투자, 후 지출의 안정적인 자산관리 구조가 달성될 것입니다.
<효과적인 계좌 관리법>
1. 수입금이 입금된 계좌에서 보험료, 카드결제, 생활비의 예산액을 남기고 모두 잉여자금계좌(다이렉트 뱅킹)로 옮깁니다. 결제계좌 자금이 부족하다면 이를 과소비를 한 것으로 인식하여야 합니다.
2. 잉여자금계좌에 쌓인 돈이 비상금이 될 만큼 놓아 두고(보통 3개월치 생활비 수준) 이를 넘어설 경우, 미리 정해진 투자전략에 따라 이벤트계좌, 결제계좌로 자금을 이체합니다.
-----------------------------------------------------------------------------------------------
개발자의 역량 관리 비법
① 기초와 본업에 충실하라
구구단을 외울 때는 왜 외어야 하는지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저 한 쪽 벽에 붙여 놓고 하루에도 수십 번씩 엄마의 리듬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초등학교 3학년이 되니 곱하기 문제가 나오기 시작한다.
4*3 이지만 우리는 익숙하게 사일은 사, 사이 팔, 사삼 십이^(강하게)를 읊으며 답을 적어 내려간다. 구구단을 외지 않았으면, 어찌하여 사각형 넓이에서 미분, 적분까지 발전할 수 있었을까?
서두가 길었지만, 선생님들이 누누이 강조하는 기초에 충실 하라는 말을 새삼 기억하길 바란다.
과목을 망라하고 모든 강좌에는 기초,중급,고급반이 있고, 그에 맞는 절차가 있다.
지금 내게 필요한 건 두꺼운 응용 편이 아닌 기초가 담긴 '성문기본 문법 편'이 아닌가 자문해 보기 바란다.
② 두루 식견을 넓혀라
java 만 할 수 없고, Oracle SQL Syntax 만 잘 한다고 해도 문제될 것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렇다고 All-around Player가 되라는 말은 아니다.
최소한 무지함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발자라면 java, .net, C#, php, C++, PB 등의 개발 언어 중 최소한 한 개를 알고 있다는 출발점에서 DB, 시스템 특성, Unix Command, Network 및 TCP/IP 등도 두루 식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편식 하는 사람은 어머니가 걱정하고, 과식 하는 사람은 주변 사람이 부담스러워 하는 것처럼 모자람도 지나침도 없는 것이 개발자에게도 이상적이다.
③ 현업은 VIP 고객이다
이 말은 사실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일을 하다 보면 가장 Cost 가 많이 드는 것은 사람과의 Communication 에서 나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때문에 이것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금 Code 한 줄 Typing 할 시간도 부족한 지금이라면, 더욱더 카네기의 '인간관계론'과 '행복론'을 먼저 필독 하고 나아가도 늦지 않을 것이다.
이미 그 code 는 프로젝트 마지막 단계에 꼭 변화(change) 될 것이기 때문이다.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두 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현업은 VIP 고객이다' 라는 생각이다. code로 못 푸는 건 만나서 소주로 풀어주는 게 비교적 싸게 먹힌다.
누구나 개발자의 길로 들어설 때 출사표를 던졌을 것이다. 삼국지에서 관우는 본인 보다 나이 어린 제갈공명에게 싸움에 나가기 전 반드시 승리하고 돌아 오겠으며, 패했을 경우 군령 을 달게 받겠다는 출사표를 던지고 적진으로 돌진한다.
그리고 싸움 내내 그 출사표를 기억하며 최선을 다하여 이기고 금의환향을 했다. 그렇게 이룩한 것이 삼국 시대의 촉 나라다. (..하지만 관우는 끝내 자만심에 목숨을 잃고 만다.)
단편적이지만 날 잘 드는 Eclipse 와 Toad 또는 Orange 따위가 있지만, 병법 하나 모르면서 자만함으로 적진으로 돌진했더라면 주인 없는 몸만 남아 죄 없는 소주만 들이키고 있을지 모른다. 주머니엔 소주 값도 없으면서....